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우리나라 수문학적 가뭄 위험도 평가Hydrological drought risk assessment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South Korea

Other Titles
Hydrological drought risk assessment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South Korea
Authors
JUNGHO SEOHAEWON CHI김혜진YEONJOO KIM
Issue Date
Jun-2022
Publisher
한국수자원학회
Keywords
기후 및 사회·경제시나리오
Citation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v.55, no.6, pp 421 - 435
Pages
15
Journal Title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Volume
55
Number
6
Start Page
421
End Page
435
URI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23117
DOI
10.3741/JKWRA.2022.55.6.421
ISSN
1226-6280
Abstract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가뭄 영향을 평가 및 전망하고 가뭄 위험도 감소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 대책이 필요하다. 가뭄 위험도(risk)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후 요소뿐만 아니라 가뭄 발생 지역의 사회·경제적인 요소들 또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PCC의 재난 위험도 분석 프레임워크에 따라 가뭄 위험도 평가 요소를 위해성(Hazard), 노출도(Exposure), 취약성(Vulnerability)으로 나누고 이에 맞는 각 지표를 선정하여 우리나라 중권역 단위의 가뭄 위험도를 정량화하였다. 미래 가뭄 위험도 평가를 위해 근 미래(2030-2050년)와 먼 미래(2080년-2099년)에 대해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2.6, RCP 8.5)와 사회경제 시나리오(SSP1, SSP2, SSP3)를 조합하여 가뭄 위험도를 살펴보고 이를 과거(1986-2005년)와 비교·분석하였다. 미래 시나리오에 따른 가뭄 위험도는 시간에 따라 전 유역에 걸쳐 먼 미래에 크게 상승하였다. 그리고 가뭄 위험도의 각 요소별 기여도와 순위 분석을 통해 미래 가뭄 위험도 상승에 대해 가뭄 위해성의 기여도가 전반적으로 크고, 유역별로 상승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유역별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가뭄대책 수립을 위한 정책에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As natural disasters have been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sustainable solutions are in need to alleviate the degree of drought hazard, assess and project the drought influence based on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In assessing drought risk, socio-economic factors of the region must be considered along with meteorological factors. This study categorized drought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as three major components of drought risk according to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risk assessment framework, and selected indices for each component to quantify the drought risk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mid-size basins. Combinations of climate scenarios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2.6 and RCP 8.5) and socio-economic scenarios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1, SSP2 and SSP3) for the near future (2030-2050) ant the far future (2080-2099) were utilized in drought risk analysis,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data (1986-2005). In general, the drought risks for all scenarios shows large increases as time proceeds to the far furtur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ank of drought 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for drought risk, and each of their con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ought hazard is the most contributing component to the increase of drought risk in future and each basin shows varying contributing components. Finally, we suggested countermeasures for each basin according to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us this study provides made the basis for establishing drought management measure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gho, Seo photo

Jungho, Seo
건설환경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