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의 건강문해력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A systematic review on health literacy of visual impaired people
- Other Titles
- A systematic review on health literacy of visual impaired people
- Authors
- 이한빈; Piao, Zhaoyan; 라호준; 전보영; 한은아
- Issue Date
- Sep-2022
- Publisher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 Citation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28, no.3, pp 51 - 78
- Pages
- 28
- Journal Title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Volume
- 28
- Number
- 3
- Start Page
- 51
- End Page
- 78
- 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23268
- ISSN
- 1738-7302
3022-7348
- Abstract
- 건강문해력은 특히 시각장애인에게 건강 결과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시각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건강 문제를 더 많이 겪고, 이는 건강 지식 차이와 관련 있다. 현재까지 여러 연구에서 건강문해도와 건강 결과 사이의 관계에 대해 보고하고 있으나 시각장애인 건강문해도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건강문해도 수준 및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시각장애인의 건강문해도 증진과 건강 관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2000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국내 데이터베이스(KoreaMed, KMbase, RISS KERIs)와 해외 데이터베이스(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에 발표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하였다. 검색된 논문은 제목과 초록으로 1차 배제했고, 전문 검증을 거쳐 2차 배제했다. 분석 결과 시각장애인의 건강문해력 논문은 최종적으로 8건이 선정됐다. 선정된 논문은 비뚤림 위험평가 도구 ROBANS를 이용해 질을 평가했다. 문헌의 비뚤림 위험은 ‘낮음’ 4편과 ‘높음’ 4편으로 확인됐다. 시각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비교해 건강문해력이 더 낮았고, 건강 관리를 위한 권장 사항(질병 예방, 복약 순응도, 질병 인식 등)을 따를 가능성이 작았다. 시각장애인, 의료 담당자 등을 교육했을 때 시각장애인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하여 건강문해력이 높아졌다. 그리고 건강문해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건강정보를 얻는 능력,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태도, 의료서비스 제공자와의 상호작용 및 운영 방식, 정보원 등이 중요하였다. 건강문해력이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본 연구결과는 시각장애인의 건강문해도가 비장애인에 비해 낮기 때문에 건강문해력을 저해하는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시각장애인의 건강문해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시각장애인에게 맞는 건강문해력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건강문해력 수준을 파악하고 더 많은 건강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약학대학 > 약학대학 약학과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