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복합재난 연구 동향 분석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ex Disaster Research Trends Using Network Analysis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ex Disaster Research Trends Using Network Analysis
Authors
김우식최연우홍유정윤동근
Issue Date
Dec-2022
Publisher
한국재난정보학회
Citation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18, no.4, pp 908 - 921
Pages
14
Journal Title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ume
18
Number
4
Start Page
908
End Page
921
URI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23299
ISSN
1976-2208
2671-5287
Abstract
연구 목적: 도시의 물리적·비물리적 구조간 연결이 확대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복합재난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재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복합재난으로 전개될 수 있는 재난들을 선제적으로 식별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복합재난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복합재난으로 연구된 재난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복합재난 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재난과 관련된 국내외 학술지에 최근 20년(2002-2021년)간 등재된 복합재난 관련 993편의 서지정보에 기반하여 동시출현 빈도분석을 수행하여 재난 유형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복합재난 연구 동향에 관한 국내외 및 시기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에서는 풍수해(집중호우, 태풍 등), 기반시설 붕괴, 화재와 관련한 복합재난 연구의 비중이 높았으며, 최근 들어 지진과 산사태와 관련된 복합재난 연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국외에서는 풍수해 및 지진과 더불어 기반시설 붕괴에 관한 연구의 비중이 높았으며, 지진해일과 정전 등 재난 연계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복합재난 연구 동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앞으로 국내 복합재난 연구가 가져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공과대학 건축·도시공학부 >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You-Jeong photo

Hong, You-Jeong
공과대학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