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의 성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소득의 매개효과 검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오유라 | - |
dc.contributor.author | 최하영 | - |
dc.date.accessioned | 2025-09-23T08:31:31Z | - |
dc.date.available | 2025-09-23T08:31:31Z | - |
dc.date.issued | 2023-12 | - |
dc.identifier.issn | 1226-7546 | - |
dc.identifier.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25684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에 근거하여 독거노인의 생애전반에 걸친 성별 소득 격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독거노인의 성별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득의 매개효 과를 PROCESS macro by Hayes(2013)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N=3,112).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 남성이 여성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더 좋았다. 둘째, 독거노인 남성이 여성에 비해 소득이 더 높았다. 셋째, 독거노인의 남성이 여성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더 좋았는데, 이 둘 간의 관계를 소득이 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격차가 건강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정책적 보장에 대해 제언 하였다. | - |
dc.format.extent | 23 | - |
dc.publisher | 사회과학연구원 | - |
dc.title | 독거노인의 성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소득의 매개효과 검증 | - |
dc.title.alternative | The Impact of Gender on the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come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5820/khjss.2023.49.3.001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사회과학연구, v.49, no.3, pp 1 - 23 | - |
dc.citation.title | 사회과학연구 | - |
dc.citation.volume | 49 | - |
dc.citation.number | 3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endPage | 23 | - |
dc.identifier.kciid | ART003031411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03722, Republic of Korea1599-1885
© 2021 YONSEI UNIV.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