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 수정 방법에 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보미 | - |
dc.contributor.author | 이찬영 | - |
dc.date.accessioned | 2021-12-01T07:40:08Z | - |
dc.date.available | 2021-12-01T07:40:08Z | - |
dc.date.issued | 2021-09 | - |
dc.identifier.issn | 1225-1216 | - |
dc.identifier.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535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일반 텍스트 자료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읽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텍스트 수정 방법을 제시하고,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통하여 텍스트 수정 모형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제안되어 온 다시 쓰기 방식의 주관적인 수정 방법론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텍스트를 수정하여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휘⋅문법 항목을 단순화하는 방식으로 텍스트를 수정하였다. 즉, 적절한 어휘⋅문법 유의 항목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일반 텍스트 자료의 난이도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샘플 텍스트 적용 결과 평균 텍스트 난이도는 6급에서 4.23급으로 하락하였다. 이 연구는 원하는 난이도의 읽기 텍스트가 요구되는 실제적인 상황을 고려하였으며, 진정성 있는 텍스트와 객관적인 측정 지표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 |
dc.format.extent | 29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국제어문학회 | - |
dc.title |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 수정 방법에 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a Method of Modifying Korean Reading Texts | - |
dc.type | Article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국제어문, no.90, pp 527 - 555 | - |
dc.citation.title | 국제어문 | - |
dc.citation.number | 90 | - |
dc.citation.startPage | 527 | - |
dc.citation.endPage | 555 | - |
dc.identifier.kciid | ART002765011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03722, Republic of Korea1599-1885
© 2021 YONSEI UNIV.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