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김현 비평에 나타난 ‘나’와 ‘만남’의 문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혜린-
dc.date.accessioned2021-12-01T08:40:22Z-
dc.date.available2021-12-01T08:40:22Z-
dc.date.issued2020-06-
dc.identifier.issn1225-0430-
dc.identifier.uri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5371-
dc.description.abstract김현 비평은 ‘시는 무엇인가’ 라는 물음으로 출발하며, 이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 곧 ‘나’를 찾아가는 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는 대상으로(밖으로) 향하던 마음을 내부로 돌려서 ‘나’를 보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인식은 ‘나’가 대상을 대하는 방식과 태도를 발견하게 하고, 새로운 ‘나’를 찾게 한다. 타자에 의한 자기 상실과 자기 분열의 역사를 경험한 김현에게는 서구로부터 한국문학 나름의 주체성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기 고유의 주체성을 찾고자 한 열망은 김현이 비평적 자의식을 모색하던 1960년대의 초기 비평으로부터 연원한다. 김현의 공식적인 비평 활동은 이원론적으로 찢긴 자아의 분열과 혼란으로부터 ‘시(문학)’ 그리고 ‘나’에 대한 물음의 해답을 찾는 것으로 출발한다. 김현에게 혼돈과 미결정의 삶은 질서에 대립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나’로 향하는 신생의 조건이자 근원지이다. 분열과 간극에서 시작된 ‘나’에 대한 물음은 ‘악에의 욕구’를 자각하게 한다. 타자의 현재를 교묘히 자아의 현재 속에 용해시키고 타자를 과거화해 버리는 ‘악에의 욕구’는 ‘진정한 만남에의 욕구’로 전환된다. 타자와의 진정한 ‘만남’은 ‘나’가 주관화 작용을 멈추고 새로운 바라봄의 자세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의 ‘나’라는 주체성은 고정된 실체적 존재가 아니라, ‘만남’의 활동을 통한 계속적 자기 형성의 과정이다. 김현의 새로운 시도는 ‘나’와 ‘너’의 만남을 통하여 나와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 즉 ‘만남’을 존재의 근거로서, 그리고 모든 것에 선행하는 것으로서 사유하고자 한 것이다. 김현에 따르면 ‘만남’의 문제는 안과 밖이라는 위상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이 갇혀있다고 느끼느냐 아니면 해방되어 있다고 느끼느냐’인 의식에 문제에 달려 있다. ‘만남’을 통한 새로운 ‘나’에 대한 물음은 ‘나’라는 굴레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한다. 김현이 서양의 거울에서 자기 확장의 나르시시즘적 역사를 보았다면, 공(空)을 상징하는 동양의 거울에서 ‘텅 빈 마음’을 확인한다. 동양의 거울은 ‘텅 빈 마음’이기에 타자의 존재를 배척하지 않고 온전히 받아들여 비추되, 간직하려 하지 않는다. 접촉이라는 조건을 통해 사물을 반사하고, 조건이 다하면 사물이 사라지는 텅 빈 거울은 주체와 대상의 만남이 불완전한 하나의 현상임을 가리킨다. 즉, ‘만남’의 원인이 주체가 대상과 접촉하면서 일어나는 작용만 있고, 실체가 없는 ‘공(空)’과 관련된다. ‘만남’이 관계의 활동으로서 일어나기에 주체는 실체가 아닌 생성이 된다. 김현은 공(空)의 상징인 텅 빈 거울을 통해 ‘나’라는 주체성이 타자를 온전히 받아들이나 간직하지 않는 ‘만남’ 속에서 생성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리고 이 만남의 활동은 개별적 실체를 초월하는 관계 그 자체를 말한다. 김현의 비평작업이 ‘나’와 ‘세계’를 실체로 구분하여 설정하지 않고, ‘나’와 ‘세계’가 만나는 방식―일어나고 사라지는 관계의 방식을 어떻게 열어 제시할 것인가로 향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Kim Hyun's criticism of ‘What is a poem?’ comes at the same time as the question of ‘Who am I?’ and the process of finding ‘I’. This is to look at ‘I’ by turning the mind toward the target (outside) inwardly. This self-awareness leads 'I' to discover the way and attitude of 'I' to the object, and to find a new 'I'. It was an important task for Kim Hyun, who has experienced a history of self-loss and self-dividuation by the other, to establish my own identity in Korean literature from the West. The desire to find one's own identity in the other's relationships stems from early criticism in the 1960s, when Kim Hyun was seeking critical self-consciousness. Kim Hyun's official critical activities start with finding answers to questions about ‘poetry’ and ‘I’ from the division and confusion of the self torn bilaterally. For Kim Hyun, Chaos and undecided life is not a confrontation with order, but a origin and source for a new ‘I’. The question of ‘I’ which began with division and gap, makes us realize ‘the desire for du Mal’. The desire for du Mal, which deftly melts the present of the other into the present of the self and makes the other a past, is converted into a ‘real desire for encounter’. True ‘encounter’ with the other allows ‘I’ to stop subjective action and form a new attitude of gaze. At this time, the identity of ‘I’ is not a fixed entity, but a process of continuous self-formation through the activities of ‘encounter’. Kim Hyun's new attempt was intended to be based on the fact that I and the world exist through the encounter of ‘I-You’ or ‘encounter’ as the basis for existence and as a precedent for everything. According to Kim Hyun, the problem of ‘encounter’ depends not on the status of being inside and outside, but on the consciousness of ‘whether you feel trapped or liberated’. The question of a new ‘I’ through ‘encounter’ means liberation from the ‘I’ restriction. If Kim has seen the narcissistic history of self-expansion in a Western mirror, he checks his ‘empty mind’ in an Oriental mirror, symbolizing empty. The Oriental mirror is an ‘empty mind’, so it does not reject the existence of the other and fully accepts it and reflects it, but does not try to keep it. An empty mirror in which objects are reflected through the condition of contact, and objects disappear when the conditions are expired, indicates that the encounte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is an incomplete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 cause of ‘encounter’ is related to ‘Emptiness’, which has only the action that occurs when the su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and has no substance. As ‘encounter’ takes place as an activity of the relationship, the subject becomes the becoming, not the substance. Through an empty mirror, a symbol of the Emptiness, Kim Hyun suggests that the subjectivity of ‘I’ is created in ‘encounter’ that fully accepts but does not keep the other. And the activity of this encounter refers to the relationship itself that transcends the individual substance. Kim's criticism work is not setting the ‘I’ and ‘the world’ as entities, but is heading to how to open up the way ‘I’ and ‘the world’ meet –the way the relationship arises and disappears.-
dc.format.extent35-
dc.publisher한국비평문학회-
dc.title김현 비평에 나타난 ‘나’와 ‘만남’의 문제-
dc.title.alternativeThe Problem of the 'I' and the ‘Encounter’ in Kim Hyun's Criticism-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31313/LC.2020.06.76.27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비평문학, no.76, pp 271 - 305-
dc.citation.title비평문학-
dc.citation.number76-
dc.citation.startPage271-
dc.citation.endPage305-
dc.identifier.kciidART002595450-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yerin, Han photo

hyerin, Han
College of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