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비대면 대화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호칭어에 대한 질적 연구 - 포토보이스(Photovoice) 방법을 활용하여 -A Qualitative study on the Korean Address in non-face-to-face conversations - Utilizing the Photovoice -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Korean Address in non-face-to-face conversations - Utilizing the Photovoice -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Feb-2023
Publisher
한성어문학회
Citation
한성어문학, v.48, pp 1 - 48
Pages
48
Journal Title
한성어문학
Volume
48
Start Page
1
End Page
48
URI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22982
ISSN
1229-8271
Abstract
이 연구는 포토보이스(Photovoice) 방법을 통해 비대면 대화에 나타나는 한국어 호칭어 사용 양상과 그 의미를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포토보이스의 사진 선택, 맥락화, 부호화와 범주화를 통해 비대면 대화 상황에서 어떤 한국어 호칭어를 사용하고, 왜 그러한 호칭어를 사용했는가의 의미를 확인하였다. 질적 연구 방식을 통해 새롭게 확인한 비대면 호칭어의 사용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대화에서는 기존 대면 관습과 관계적 거리와는 다르게 호칭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대면 대화에서 일반적으로 ‘님’은 높임의 의미를 갖지만 비대면 대화 상황에서는 격식성을 낮춘 의미로 친근함을 나타내는 가벼운 호칭어로 사용된다. 둘째, 대면 대화 상황에서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관계 질서나 위계가 비대면에서는 관계의 경계를 모호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비대면 대화에서는 화자가 특별하게 의미를 부여한 호칭어가 사용되는데 장난이나 놀림의 수위가 훨씬 높다. 넷째, 비대면 대화에서는 호격 조사 ‘아/야’를 사용한 호칭 방식에 좀 더 친근함의 의미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비대면적 관계와 대화가 많아진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사용하는 의미가 점차 달라지고 있는 한국어 호칭어의 의미를 확인하고 비대면 상황에서 사용되는 호칭어의 의미를 재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yeong photo

Kim, Jiyeong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