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실무에서 요구되는 UX디자이너 핵심 역량 분석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of UX Designers Required in Domestic Practice

Other Titles
Analysis of Core Competencies of UX Designers Required in Domestic Practice
Authors
MINGI KAWKYounghee Jo우지연이시헌SOYEON KIM임수한심온MANACUIMING ZHUZHANG ZHUOMINGSO YEON KIM
Issue Date
Mar-2021
Keywords
UX Design; UX Designer; Designer Competence; Design Practice; UX디자인; UX디자이너; 디자이너 역량; 디자인 실무
Citatio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20, no.1, pp 39 - 52
Pages
14
Journal Title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olume
20
Number
1
Start Page
39
End Page
52
URI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23135
DOI
10.21195/jidr.2021.20.1.003
ISSN
2765-2793
Abstract
<연구배경>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이하 UX)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광의의 개념으로 성숙되었으며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그러나 UX의 다학제적, 융합적 특성으로 인해 합의된 보편적 정의의 부재로 교육과 실무 분야에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실무에서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 현황을 살펴보고 핵심 역량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국내 실무 현장에서 통용되는 UX디자이너의 역할 범주 및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구인광고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후 더욱 면밀한 논의 및 분석을 위해 UX디자인 실무진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UX디자이너가 앱이나 웹 이외의 브랜딩, 콘텐츠 디자인 등의 다양한 영역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산업 및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협업 능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이 핵심 역량으로 강조되었으며 UX디자인 구현을 위한 테크니컬 스킬, 태도 또한 중요한 능력으로 요구되었다. <결론> UX디자이너에게 다양한 범주와 역할, 역량이 요구되는 만큼, 해당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전문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UX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폭넓게 접근하며 차별화된 본인만의 핵심 역량을 가진 인재 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산업영역에서 UX디자인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UX디자이너의 업무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 역량을 논의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UX디자인의 실무와 교육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 >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 > 생활과학대학 통합디자인학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  photo

,
통합디자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