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사회적 자본과 건강 간의 관계: 사회적자본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Old Ag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Frailty
- Other Titles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Old Ag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Frailty
- Authors
- OH, YOURA; 김희선
- Issue Date
- Dec-2022
- Publisher
- 한국노년학회
- Citation
- 한국노년학, v.42, no.6, pp 1165 - 1181
- Pages
- 17
- Journal Title
- 한국노년학
- Volume
- 42
- Number
- 6
- Start Page
- 1165
- End Page
- 1181
- 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25683
- ISSN
- 1225-1356
- Abstract
- 본 연구는 건강한 노년기를 위한 지역사회 내 1차 예방 개입으로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이에 노년기사회적 자본이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경로를 파악해보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는 2018~2019년 조사된 노인노쇠코호트자료를 활용하여, 모든 변수에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SPSS MACRO PRCESS v3.5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단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노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2단계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 3단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완전 매개효과를확인하였으며, 매개변인으로써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건강한 노년기를 위한 지역사회 내 1차 개입방안으로써사회적 자본의 의미를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을 높이기 위한 환경 조성과 관련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