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직장 이직의도와 직업 이직의도에의 영향력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Impact of Their Silence on Organizational Turnover and Occupational Turnover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Impact of Their Silence on Organizational Turnover and Occupational Turnover
- Authors
- Kang, Chulhee; Kil, Young In; 김찬미
- Issue Date
- May-2023
- Publisher
- 한국사회복지학회
- Citation
- 한국사회복지학, v.75, no.2, pp 159 - 192
- Pages
- 34
- Journal Title
- 한국사회복지학
- Volume
- 75
- Number
- 2
- Start Page
- 159
- End Page
- 192
- 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25687
- DOI
- 10.20970/kasw.2023.75.2.006
- ISSN
- 1229-5132
- Abstract
- 본 연구는 새롭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성이 큰 현상인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에 초점을 둔다. 일반 조직에 관한 연구에서 조직침묵은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직무만족 요인, 소진 요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직무특성 요인에 더해 조직침묵 요인이 과연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갖는 것인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직침묵의 4가지 유형 모두에 초점을 두면서 각각이 사회복지영역 내에서의 이직의도(직장이직)와 사회복지 외 영역으로의 이직의도(직업이직)에 어떠한 영향력을 갖는지를 탐색한다. 자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전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3,275명을 표집하여 조사한 2019년 사회복지사 기초통계연감 자료를 사용하고,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한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침묵 전체값은 직장 이직의도와 직업 이직의도 모두에 정(+)의 방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직침묵 유형 중 체념적 침묵은 정(+)의 방향에서 직장 이직의도와 직업 이직의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갖는데, 이에 반해 순응적 침묵은 직장 이직의도에만 부(-)의 방향에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통제 요인 중 직무만족(-), 소진(+), 연령(-), 학력_대학원졸 이상(+), 시설유형_이용시설(+)이 이직 도착지 유형에 관계없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졌다. 셋째, 직장 이직의도에서는 학력_대졸(+), 고용형태_정규직(-)도 유의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 이직의도와 관련해서는 앞서 언급한 요인 이외의 유의한 요인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복지사의 조직침묵과 직장 이직의도 및 직업 이직의도의 관계를 검증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에서 조직침묵, 특히 체념적 침묵이 지니는 부정적 파급력에 대한 이해를 확장 및 심화시킨다. 또한 이와 관련해서 조직관리 차원의 과제를 논의한다.
- Files in This Item
-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