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족분화와 대학생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동미-
dc.contributor.author박주희-
dc.date.accessioned2021-12-01T08:40:23Z-
dc.date.available2021-12-01T08:40:23Z-
dc.date.issued2020-03-
dc.identifier.issn1229-6988-
dc.identifier.uri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537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가족분화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자율성에 의해 매개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7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7세~24세의 대학생 312명(남녀 각 172명, 140명)을 대상으로 가족분화 척도와 자율성 척도, 우울 척도(CES-D)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대우도법 추정을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족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자율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고, 부트스트랩(Bootstrap)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분화는 대학생의 자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율성은 대학생의 우울 증상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의 자율성이 낮아지며, 낮은 수준의 자율성을 가진 대학생들이 더 높은 수준의 우울을 경험한다. 둘째, 가족분화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율성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족분화는 자율성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해 가족의 분화 수준과 대학생 개인의 자율성에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족분화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확인하여 가족분화 이론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12 college students aged between 17 and 24 years, who enrolled in seven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Korea.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ed assessment scales on depression, 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and autonom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utonomy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depression whereas no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f family differentiation on depression was found. Second, the level of autonom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differentiation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late adolescent’s autonomy, and consequently, the lower the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would play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college students’ depression indirectly through their autonomy.-
dc.format.extent33-
dc.publisher한국청소년학회-
dc.title가족분화와 대학생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family differentiation on college students’dep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autonomy-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1509/KJYS.2020.03.27.3.8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청소년학연구, v.27, no.3, pp 87 - 119-
dc.citation.title청소년학연구-
dc.citation.volume27-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87-
dc.citation.endPage119-
dc.identifier.kciidART002570278-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 > Child and Family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Dongmee photo

Lee, Dongmee
College of Human Ecology (Child and Family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