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여백의 시 : 가는 것과 오는 것의 사이에서Poem of Blank Space: Between Going and Coming

Other Titles
Poem of Blank Space: Between Going and Coming
Authors
한혜린
Issue Date
Feb-2019
Publisher
인문과학연구소
Citation
人文科學硏究, v.39, pp 125 - 150
Pages
26
Journal Title
人文科學硏究
Volume
39
Start Page
125
End Page
150
URI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5379
ISSN
2005-0933
Abstract
세계와 자아의 동일성이 진리였던 20세기 중반을 지나면서 시인들은 새로운 표현과 언어를 모색한다. 새로운 시적 작업은 자신을 한정함으로써 무無로 돌아가는 훈련을 통하여 바깥을 수용하는 ‘여백’에서 시작된다. 동양회화의 독특한 화면 구성법인 여백은 화면 속의 빈 공간으로, 그려진 것과 그려지지 않은 것(빈 공간)이 각각 그것 자체에 머물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환기하는 작용을 통해 의미 영역을 확산시킨다. 회화적, 공간적 개념인 여백이 시에서는 감정의 절제와 문장의 생략을 통한 외부 묘사로서의 공백으로 나타난다. 이로써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이 서로 마주한다. 김종삼과 김춘수는 동시대적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던 시인들로서 시작(詩作)에서 유사점을 보여준다. 두 시인의 시는 객관적인 외부세계 묘사와 주관으로서의 추상화가 병치되고 조화를 이룬다. 이로써 두 시인의 무(無)로 돌아가는 시적 작업은 허무주의로 귀결되지 않으며, 자신을 최소한으로 한정시키면서 최대한으로 세계와 관계 맺고자 하는 것으로 정리된다. 여백의 시란 자아로 세계를 언어화하는 것도, 남김없이 비우는 작업을 통해 외부의 세계를 그대로 재생산하는 것도 아니다. 비움과 채움이 동시에 울림으로써 외부와 내부가 서로 침투하고 작용하는 관계의 장場인 것이다. 언어란 계속적으로 자아의 재현으로 향하려 한다. 두 시인의 길은 동일성의 언어를 넘어 이쪽에서 말하는 것과 저쪽에서 오는 것 사이의 울림에 놓여 있다. 여백의 시가 아름다운 것은 공백이 아니라 현실(물리)과 관념(심리)이 함께 호흡한다는 것에 있다.
Through the midtwentieth century, when the identity of the world and self was true, poets seek new expression and language. The new poetic work begins with a blank space to accommodate the outside through training of returning to nothing by defining oneself. The blank space, which is the unique screen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s, is an empty space in the screen. The painted and unpainted things(empty spaces) diffuse the meaning space through the action of mutually ventilating each other, rather than settling for the way things are. The blank space, a pictorial and spatial concept, appears in the poem as a void of an external description through the abstraction of emotion and the omission of sentences. As a result, things spoken and unspoken face each other. Kim Jongsam and Kim Chunsoo show similarities in poetry as poets who possessed the consciousness of contemporary problems. The poetry of the two poets is juxtaposed and is in harmony with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world and the abstraction as the subject. Thus, their poetic work of returning to nothing does not result in nihilism, and it is summarized as trying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t the maximum while limiting himself to the minimum. It is neither the language of the world through self, nor the reproduction of the outside world as it is, through the work which empties without leaving. It is a place where the outside and the inside penetrate and function as emptying and filling sound at the same time. Language is constantly about to return to the representation of self. The paths of the two poets lie beyond the language of identity to the sound between speaking here and coming from beyond. The beauty of blank space is that the reality(physics) and ideas(psychology) breathe, not blank spac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yerin, Han photo

hyerin, Han
College of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