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초등학교 시설물 개방의 영향요인 - 제도주의 조직론을 중심으로 -The Determinants of the Opening of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 Other Titles
- The Determinants of the Opening of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 Authors
- 유승주; 유두호
- Issue Date
- Dec-2020
- Publisher
- 한국정책학회
- Citation
- 한국정책학회보, v.29, no.4, pp.173 - 198
- Journal Title
- 한국정책학회보
- Volume
- 29
- Number
- 4
- Start Page
- 173
- End Page
- 198
- 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5511
- DOI
- 10.33900/KAPS.2020.29.4.7
- ISSN
- 1226-5497
- Abstract
- 본 연구는 학교 조직의 변화된 역할 중 하나인 학교 개방의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 당연하게 여겨지던 학교 개방이 이제는 당연한 것이 아닌 변화된 학교의 역할로 주목받고 있으며, 학교를 둘러싼 외부 환경적 요인과 다양한 제도적 논리에 의해 학교 개방의 정도는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 개방과 관련한 실증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도주의 조직론에 기반하여 전국 5,844개 전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개방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이의 영향력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접한 학교 조직이 개방할수록 해당 학교의 개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제적 논리, 사회 공헌 논리에 조응할수록 학교 개방의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조직의 개방이라는 의사결정이 조직 내부적 요인과 함께 조직을 둘러싼 다양한 제도적 논리와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임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학교 시설물 개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환경을 고려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학교 개방 지원정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Social Sciences > Public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