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P를 활용한 지방의회 생산성 지표개발 연구 - 경기도의회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ductivity Indicators for Local Councils using AHP Analysis - Focused on Gyeonggi-do Council -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ductivity Indicators for Local Councils using AHP Analysis - Focused on Gyeonggi-do Council -
- Authors
- 노성민; 유두호
- Issue Date
- Dec-2021
- Publisher
- 한국자치행정학회
- Keywords
- 지방의회; 생산성; 적극의정; AHP; Local Council; Productivity; Active Parliamentary Politics; Analytic Hierarchy Process
- Citation
- 한국자치행정학보, v.35, no.4, pp.235 - 254
- Journal Title
- 한국자치행정학보
- Volume
- 35
- Number
- 4
- Start Page
- 235
- End Page
- 254
- 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6275
- DOI
- 10.18398/kjlgas.2021.35.4.235
- ISSN
- 1738-7779
- Abstract
-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지방의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지방의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과 계층화 분석(AHP)을 결합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지방의회의 기능과 측정지표, 지표의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주민대표기능, 의결기능, 입법기능, 견제 및 감시기능, 적극의정기능이 경기도의회의 생산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으로 도출되었고 1계층인 지방의회 기능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입법기능과 주민대표기능이 높은 우선순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인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생산성 제고 방안으로 지방의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학습의 장 마련, 조례에 대한 고찰과 입법기능의 실질적 작동, 집행부에 대한 효율적 견제를 통한 지위 확립, 적극의정 실현을 위한 피드백 체계 구축을 제시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Social Sciences > Public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