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에 대한 사업장의 역할 - 정책과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중심으로 -The Role of Workplaces in Safety Management - Focusing on the Policy And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 Other Titles
- The Role of Workplaces in Safety Management - Focusing on the Policy And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 Authors
- 최정윤; 유두호
- Issue Date
- Nov-2021
- Publisher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Citation
- Crisisonomy, v.17, no.11, pp.17 - 32
- Journal Title
- Crisisonomy
- Volume
- 17
- Number
- 11
- Start Page
- 17
- End Page
- 32
- 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6277
- DOI
- 10.14251/crisisonomy.2021.17.11.17
- ISSN
- 2466-1198
- Abstract
- 본 연구는 안전사고 관리를 위한 작업장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최근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이 안전사고와 재난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 정책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정책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이 사업장의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한다. 분석결과, 정책영향력이 높을수록 사업장의 안전관리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영향과 4차 산업혁명 대응 간 상호작용에서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은 정책이 사업장의 안전관리에 미치는긍정적 영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사업장이 지속적으로 안전사고를 인지하고 안전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을 접목한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개별 사업장은 조직원의 특성은 물론 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자체적인 안전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Social Sciences > Public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