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Mnemonic Rhythms of the Ukrainian Revolution: Sounds, Affects, and Time in Maidan and Winter on Fire

Authors
Jiyun Kim
Issue Date
Aug-2022
Publisher
영상미디어센터
Keywords
Sound Studies; Memory Studies; Affect Theory; Trauma Theory; Ukrainian History; Sergei Loznitsa; Evgeny Afineevsky 소리 연구; 기억 연구; 정동 이론; 트라우마 이론; 우크라이나 역사; 세르게이 로즈니차; 에브네기 아피네예브스키
Citation
씨네포럼, no.42, pp 155 - 185
Pages
31
Journal Title
씨네포럼
Number
42
Start Page
155
End Page
185
URI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6318
DOI
10.19119/cf.2022.08.42.155
ISSN
2094-9839
Abstract
This paper compares the two documentaries on the Ukrainian revolution, Maidan (2014) and Winter on Fire: Ukraine's Fight for Freedom (2015), exploring how the films' acoustic aesthetics cause different affects and their significance in remembering the collective trauma. The two works' soundscapes can be characterized as musical ‘singing’ and linguistic ‘telling’: Maidan repeats protesters' folk songs and musical performances, while testimonies of a specific group of citizens lead the plot of Winter on Fire. Accordingly, the former causes not-completely conscious feelings, allowing a bodily ‘experience’ of the Euromaidan, while the latter urges the viewers to empathically ‘witness’ the narrated emotion and thereby ‘participate’ in the lives of one particular camp. Furthermore, this paper grasps the chronological flow of passions during the one-and-half-year gap between the films: Maidan represents only ‘shameful’ nationalism and ‘mourning,’ but Winter on Fire eventually reaches ‘hop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future generations. Such changing sentiments develop the ‘crying’ of protesters, which is reminiscent of that of a newly born baby, into the first ‘babbling’ statements of survivors, renewing Ukraine's historical memory and national identity. Nevertheless, the borderland geopolitics of Ukraine, as reflected in the current Russo-Ukrainian War, along with the potential of affects that resists narrativization and transcends the finitude of language, still demand the non-definite vibrations of Maidan. In other words, the historicized narrative must be again dismantled and reinvented with affective crooning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is mnemonic rhythm of society has to ethically repeat itself, winding and fluctuating toward the future past.
이 논문은 우크라이나 혁명에 대한 두 다큐멘터리, 『마이단』(2014)과 『윈터 온 파이어: 우크라이나의 자유 투쟁』(2015)을 병렬하여, 영화의 청각적 미학이 정동을 일으키는 메커니즘과 집단적 트라우마를 역사화하는 과정에 대해 갖는 의의를 탐구한다. 먼저 본 연구는 『마이단』이 민중가요, 시 낭송, 악기 연주를 포함한 ‘음악적 노래하기’를 반복하는 한편, 『윈터 온 파이어』는 키이우 시민의 증언과 음성 해설 등의 ‘언어적 말하기’를 통해 플롯을 이끌어간다는 점에 주목한다. 아울러 전자에서는 시민 개개인의 경험이 ‘알아들을 수 없는 수군거림’으로 존재감을 피력하고 있지만, 후자는 일부의 목소리를 철저히 배제하면서 이분법적 관점을 고착화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마이단』은 완전히 의식적이지 않은 신체적 정동을 초래하며 관람자가 시위를 ‘체험’하게 하고, 『윈터 온 파이어』는 특정 진영의 주관적 감정을 상연함으로써 관중이 이들의 삶에 공감하고 ‘동참’하는 ‘증인’이 되도록 유도한다. 사운드스케이프 중심의 분석 과정에서, 작품들의 역사성 또한 정동의 흐름을 통해 파악된다. 혁명 직후에 공개된 『마이단』의 경우, 핵심 감정이 ‘수치’ 어린 내셔널리즘에서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로 전환되며 끝난다. 그러나 1년 이후 개봉한 『윈터 온 파이어』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미래 세대에 대한 ‘희망’과 ‘책임감’까지 피력하고 있다. 이처럼 사건에 대한 감정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면서, 신생아의 울음소리 같은 시위대의 ‘부르짖음’은 생존자의 첫 발화, ‘이야기’로 발전하며 우크라이나의 기억과 정체성을 세공한다. 그럼에도, 내러티브화에 저항하는 정동의 초월적 잠재태와 언어의 유한성, 그리고 유로마이단이 도화선이 된 현재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마이단』의 비언어적 울림을 다시금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즉, 역사의 담론은 정동의 흥얼거림으로 끊임없이 해체되어야 하며, 재발명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집단기억의 템포가 변주되는 리듬으로 굽이치며 반복되어야 할 윤리적 책무를 지닌다고 주장하며 끝맺는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yun photo

Kim, Jiyun
College of Liberal Arts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