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도’와 ‘도’ 중출 구문의 교수­학습 내용 연구

Authors
정해윤
Issue Date
Jan-2023
Publisher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Citation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12, no.1, pp 341 - 362
Pages
22
Journal Title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ume
12
Number
1
Start Page
341
End Page
362
URI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6507
ISSN
2287-2825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보조사 ‘도’가 갖는 의미의 다양성과 ‘도’ 중출 구문이 갖는 통사·의미적 특이성에 주목하여 ‘도’의 다양한 의미와 ‘…도 …도’ 구문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도’와 ‘…도 …도’ 구문의 통사·의미적특성을 분석하고, 보조사 ‘도’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과 의미별 교육 내용을 예문과함께 제시한다. 보조사 ‘도’는 고빈도 보조사로 한국어교육에서 1급의 문법 항목으로 교육된다. 그러나 한국어 교재에서 ‘첨가’라는 기본 의미만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고, ‘도’를 의미 기능에 따라 중·고급에서 새로운 목표 문법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하는 경우는 확인되지않는다. 더욱이 ‘…도 …도’ 구문은 한국어교육에서 본문에는 자주 등장하나 보조사 ‘도’ 와 별도의 문법 항목으로 다루어진 예가 없고, 연구자들의 관심도 받지 못하였다. ‘도’의 의미와 사용 빈도, 구문의 특징 등을 고려해 볼 때 기본 의미인 ‘더함’의 의미를먼저 교육한 후, ‘극단’, ‘받아들임’의 의미 순으로 교육한다. 그런 다음, 앞뒤 절이 각각의 서술어를 가지고 있는 병렬형의 ‘…도 …도’를 교육한 후에 서술어가 하나뿐인 나열형의 ‘…도 …도’를 교육한다. 특별히 ‘…도 …도’ 구문은 ‘도’가 한 번 사용되는 문장과 달리 문장 표면에 드러난 두 성분만이 의미 부여에 관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연결어미 ‘고’와 함께 ‘나열’의 의미로 교육해야 한다. 적절한 예문과 함께 이루어지는 이러한 단계별 교수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 부담감을 줄이고 목표 문법에 대한 이해를 높여 ‘도’의 교수­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문과대학 인문학부 >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HAEYUN photo

CHUNG, HAEYUN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