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态翻译学视域下『채식주의자』汉译研究A Study on the Chinese translations of The Vegetarian -From the perspectives of Eco-Translatology-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Chinese translations of The Vegetarian -From the perspectives of Eco-Translatology-
- Authors
- 郭长誉; LIU, RENBO
- Issue Date
- Mar-2022
- Publisher
- 한중인문학회
- Keywords
- 생태번역학; 『채식주의자』; 중국어번역; ‘3차원’ 변환; 텍스트 이식; Eco-Translatology; 『채식주의자(The Vegetarian)』; Chinese translation;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s; textual transplants
- Citation
- 한중인문학연구, no.74, pp 255 - 273
- Pages
- 19
- Journal Title
- 한중인문학연구
- Number
- 74
- Start Page
- 255
- End Page
- 273
- URI
- https://yscholarhub.yonsei.ac.kr/handle/2021.sw.yonsei/6571
- DOI
- 10.26528/kochih.2022.74.255
- ISSN
- 1598-0383
- Abstract
- 2016년 한강의 소설인 『채식주의자』는 한국인 최초 맨부커 국제상을 수상하게 되었고 높은 문학적 가치를 인증 받으면서 여러 외국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의 독자들과 만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수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번역 이론 및 관점에 입각하여 『채식주의자』와 그 번역본을 분석해 왔으나 아직까지 『채식주의자』의 중국어 번역본을 살핀 학술적 담론이 부재한 실정이다. 동시에 기존의 번역 연구 이론들은 대부분 제한적인 측면에서만 번역 텍스트를 분석하였는데 비교적 지엽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최근 중국에서 출범하여 국제 학계에서 널리 알려진 생태번역학(Eco-Translatology) 관련 이론을 활용하여 『채식주의자』의 중국어 번역본을 분석한 후 다양한 관점이나 차원에서 번역 실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생태번역학의 ‘3차원’ 변환(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s)을 이론적 바탕으로, 말뭉치언어학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강의 『채식주의자』와 그의 두 개 중국어 번역본(‘천’ 버전과 ‘후’ 버전)을 병렬말뭉치로 구축한 후에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개의 중국어 번역본에서 가장 좋은 부분은 모두 목표어 생태의 언어학적, 문화적, 의사소통적 차원을 충분히 고려하여 텍스트 이식(textual transplants)을 실현해 주는 것이었다. 즉, 목표어인 중국어에서도 텍스트의 생명을 살리며 수명의 연속이 실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개의 중국어 번역본에서 모두 생태를 훼손하는 오역 현상이 출현되었으므로 이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학계 최초로 생태번역학을 도입·소개하여 번역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을 뿐만 아니라 『채식주의자』의 중국어 번역본을 면밀히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iberal Arts > 문과대학 인문학부 >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 Hub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